성공회의 뿌리를 찾아서 교회 분류를 케토릭적 측면에서 시도 한다면 케도릭 외에 모든 교회들은 개신교라는 논리가 성립될 수 있을 것입니다. 그러나 성공회를 일반적 개신교라고 쉽게 각인하기에는 많은 무리가 따릅니다. 한 예로 성공회의 본산인 영국에서는 Church of England (영국의 교회)라는 공식 명칭을 사용하는데 이것은 영국 국교회라는 의미로 Church in England(영국 안의 교회)라는 의미와 는 다릅니다. 대한 성공회가 한 때 일부에서 명칭 변경을 기독교 대한 성공회로 하자는 주장도 있었다고 하는 말을 들어본 적이 있습니다. 미국 성공회 출발은 대한 성공회 출발 상황과 좀 다릅니다. 신학적, 정 신적 영향은 영국으로 부터 받았고 정치적인 영향은 스코틀랜드로 부터 받았습니다. 츨발 당시 영국 국교회에서 주교 서품을 거부하기 때문에 초대 씨베리 주교님은 서품을 스코틀랜드 성공회에서 받았습니다. 조직 당시 공식 명칭은 The Protestant Episcopal Church in U, S, A.(미국 기독교 성공회?) 였으나 도중에 기독교(개신교)라는 부분을 삭제하여 지금은 The Episcopal Church in U, S,A.로 사용합 니다. '에피스코팔' 이라는 말은 헬라어의 '에피스코피' 에서 유래된 말로 주교 혹은 사제라는 의미 가 담겨져 있습니다. 나는 성공회를 일반 개신교 중에 한 교단으로 보기 보다는 제3의 교회(The Thrid a Church)로 생각합니다. 카토릭(천주교)이 한국에서는 단일 교단이겠지만 세계 속에서는 아닙니다. 올드 케도릭(구 천주교) 가 세계적으로 약 80 만명의 신자 통계를 가지고 있습니다. 그리고 아프리카에 사도 천주교회도 있는데 로마 교황청과는 별개의 교단입니다. 안타까운 것은 대한 성공회 교세가 워낙 저조하지만 성공회는 세계적으로 천주교 정교회 다음의 세 번째 교세(약 8000 만명)로 방대한 교단입니다. 성공회의 특성(The Character of Anglican Church) 은 형성부터가 타 교단과 많은 차이점이 있고 뿌리가 깊어 단순하게 말하는 것은 상당한 무리입 니다. 아마 제일 말하기 어렵고 긴 설명이 필요한 교회입니다. 성공회 신학도 특성 상 천주교와 개신교의 신학을 이해해야 정상적인 이해가 가능합니다. 일부 신학자들은 성공회 신학은 200년- 300년 후의 미래적인 신학이라고 입을 모으고 있습니다. 이 말 은 장차 200- 300년 안에 천주교와 개신교가 성공회 만큼 변할 것이라는 암시를 주고 있습니다. 미국 성공회 성 야고보교회 관할 사제. 이 다니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