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월 5일
보니파스(주교, 독일의 선교사, 순교자, 754년)
보니파스는 675년경 영국 크레디턴에서 태어났다. 그는 에제터(Exeter)수도원과 윈체스터 근교에 있는 너스링( Nursling)수도원에서 교육을 받았다. 그리고 윈프리드(Wynfrith)라는 영세명을 받았다. 그리고 30세에 신부서품을 받았다. 신부서품을 받은 후 10년 동안 그는 수도사로서 배우는 일을 열심히 하였으며 신자교육 하는 일과 전도활동에 열중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그는 해외 선교사로의 자질을 탄탄히갖추게 되었다.
716년 보니파스는 네덜랜드에서 개척선교를 하고 있던 윌리볼드(willibrord)와 그 이외의 여러 선교사들에게 감동을 받았다. 그리하여 영국에서 편안하게 성직할 수 있는 길을 버리고 윌리볼드(willibrord)를 따라 선교사가 되어 프리지아(Frisia)로 갔다. 처음 시작한 프리지아선교를 통해 그는 개척선교에 대한 자신감을 얻었다. 그리하여 719년에 개척선교를 떠나기로 하였다. 그러나 이번에는 무작정 선교를 떠난 것이 아니라 로마에 가서 로마 교황의 승인을 받고 떠나기로 하였다. 보니파스는 로마에서 교황 그레고리 2세의 승인을 받고 독일의 이교도들에게 복음을 전하기 위해 독일로 떠났다. 그는 열정적으로 이교도들에게 복음을 전파하였으며 37년간 개척선교를 하였다. 그는 일생을 교회와 수도원을 조직하고 개척하고 선교하는 일과 헤세와 바봐리아와 투링기아에 교구를 설립하는 일을 하였다. 그는 722년에 주교로 축성되었다. 그리고 마인즈 관구를 설립하였고, 10년 뒤인 732년에 마인즈에서 대주교가 되었다.
보니파스가 이교도 선교를 할 때 한 가지의 에피소드가 있다.
당시는 힘 있는 신을 믿는 풍습이 있었기 때문에 보니파스는 사람들이 천중의 신으로 섬기는 토르(Tor)에게 바쳐진 떡갈나무를 도끼로 찍었다. 그가 아무런 벌도 받지 않는 것을 확인한 수천명의 주민들이 기독교로 개종한 사건은 유명한 일화이다
보니파스가 독일에서 선교활동을 하는 동안 영국에 있는 그의 친구들이 인적자원과 필요한 물품 등으로 많은 도움을 주었다. 뿐만 아니라 프랑크족 왕도 그의 선교활동에 조력자가 되어주었다. 보니파스는 프랑크족들의 추대로 프랑크족의 교회 개혁위원회의 의장이 되어 교회를 개혁하는 일을 하기도 하였다. 보니파스는 독일 남부에 있는 수도원을 서로 연결하고 수도원을 교육의 장소로 만들어 복음을 계속적으로 전할 수 있게 만든 최초의 사람이었다. 보니파스는 나이가 들자 753년에 마인즈 관구장 직을 내려놓고 다시 프리지아로 돌아와 그의 선교 활동을 계속 하였다. 754년 보니파스는 풀다 강변에서 새로 개종한 기독교인들에게 견진성사를 주기 위해 사람들을 기다리고 있었다. 이때 이교도들이 습격하여 그와 그의 동료들을 살해했다.
보니파스는 744년 마인즈 근처에 그가 세운 수도원 풀다에 묻혔다. 한 평생을 개척지를 돌며 교구를 신설하고 조직화 하며 교회를 개혁하는 일을 한 그는 영국에 있는 그 어떤 사람보다도 유럽의 교회역사에 깊은 영향력을 끼친 사람으로 알려져 있다.
보니파스가 커트버트 (Cuthbert)에게 보낸 편지
사랑하는 나의 형제여,
나는 우리가 거센 바다의 파도를 헤치며 배를 저어가야 할 책임을 맡은 것과 우리가 우리의 임무를 계속 할 수도 없고 죄 없이 그것을 단념할 수도 없을까봐 두렵다네. 나는 어떤 현명한 사람이 “만약 우리가 망망대해에서 배를 조종할 때 게으른 것이 위험한 것이라면, 파도가 거세게 몰아치는 폭풍우 속에서 방향키를 제멋대로 두는 것은 얼마나 더 위험한 일이겠는가? 이 세상의 바다를 가로질러 항해하는 것에 있어서, 교회는 유혹의 파도에 부딪치는 커다란 배와 같다. 그리고 그 배를 버리는 것이 아니라 키를 조정하는 것이 우리의 의무다” 라고 한말을 기억하였네.
이 예처럼 우리는 클레멘트, 코넬리우스, 로마 도시에 있는 많은 사람들, 카타지에 있는 키프리안, 알렉산드리아에 있는 아나타시우스 같은 초대 교부들이 있었지. 그리스도의 배를 조종하는 이교도 황제 통치아래 살고 있는 것이 교회고, 그의 가장 사랑하는 배우자이며, 가르침이고, 방어하는 것이며, 일하는 것이고, 고통받는 것이다, 심지어 그들 자신의 피를 흘리는 것이라고 말해도 좋을 정도까지.
내가 감독하고 있는 교회에서, 나는 땅을 파고, 거름을 주었지만, 그것을 지키는데 실패했다는 것을 알았다네. 아 ~ 슬프도다. 나의 모든 수고가 강도나 도둑이 올 때 짓는 개처럼 나에게 보일지라도, 그의 항변에 그를 도와주러 오는 사람이 한 사람도 없었기 때문에 그는 단지 거기에 앉아서 에처롭게 울며 불평을 할 뿐이네.
하느님이 에제키엘에게 하신 말씀에 의하면, 어떤 사람이 복음 가르침을 위임 받았을 때, 비록 그가 거룩한 삶을 살고 있다할지라도, 사악하게 살고 있는 사람들의 비난을 두려워하거나 또는 부끄러워한다면, 침묵했기 때문에 남아 있는 사람들과 함께 죽게 될 것이라는 것이네. 내가 이같은 사람들을 떠 올렸을 때, 그리고 그들을 사랑했을 때, 나는 두려움으로 가득 찼다네. ‘두려움과 떨림이 엄습했고, 내 죄의 어둠이 나를 압도하였네.’ 만약 내가 거룩한 성서 말씀에서나 또는 교부들의 예에서 행동의 과정을 위해 정당한 근거를 찾을 수 만 있다면, 나는 단지 너무 기뻐서 내가 승인했던 교회들을 지도하는 일을 멈출 수 없을 것이네.
이것을 발견하지 못했기 때문에, 그리고 비록 그 진실이 비난받을 지라도, 내가 “너의 온 마음으로 주님을 신뢰하라, 그리고 너 자신의 통찰력에 의지하지 말아라. 너의 모든 방식에서 주님을 생각하라 그러면 그가 너의 발걸음을 인도해 주실 것이다” 라는 솔로몬의 말씀안에서 위안을 얻는 나의 피곤한 마음은 결코 긍극적으로 좌절되거나 또는 변할 수 없을거네.
저희들을 굳건히 서게 해 주십시오. 그러면 옳은 것을 행하는 중에 재판에 직면하기 위해 우리자신이 준비될 것입니다. 그에게 말씀하시는 하느님의 힘을 기다립시다. ‘주님, 당신은 이 세대와 다음 세대에 이어 우리의 피난처이십니다’. 우리에게 이러한 무거운 짐을 놓아 주시는 한분만을 신뢰합시다. 우리 자신의 힘으로 참을 수 없는 것은 모든 힘의 근원이며 ‘나의 멍에는 쉽고 나의 짐은 가볍다’ 라고 말씀하신 분의 도움으로 참고 견뎌냅시다.
결코 짓지 않는 개나 침묵으로 방관하거나 또는 늑대가 접근해 올 때 도망가는 하인이 되지 않도록 합시다. 대신에 방심하지 않는 양치기, 그리스도의 무리를 호위하는 사람이 됩시다. 그리고 하느님이 우리에게 힘을 주었을 때 언제나 힘있는 자나 없는자에게, 부자이거나 가난하거나, 모든 계층과 연령의 사람들에게 하느님의 구원의 목적을 전합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