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 우리는 가난하게 살고자 한다.
방정선(아동청소년국)
나눔의집 영성의 마지막은 “우리는 가난하게 살고자한다”입니다. 사람들이 흔히 생각하는 가난이란 돈이 없고 집이 없고 집에 먹을 것이 없어 잘 먹지 못하고 옷이 헤어진, 초라하고 볼품없는 모습일 것입니다. 가난이란 보이는 모습이 다가 아닌데 사람들은 눈에 보이는 가난만 가난이라 여깁니다. 그렇다면 나눔의집에서 말하는 가난도 우리가 흔히 생각하는 저러한 모습을 말하는 것일까요.
몇 년 이상의 긴 시간은 아니지만 지난 2년여 동안 여기서 함께 지내며 보고 듣고 느낀 나눔의집이 말하는 가난이란 내가 가진 것을 나눌 수 있는 마음의 또 다른 표현인 것 같습니다. 내가 가진 것을, 내 손에 있는 것들을 넘치도록 가지려는 욕심을 부리지 않고 타인과 함께 나눌 수 있는 것 말입니다. 나 혼자만 가득찬 그릇을 품에 안고 흘러넘치지 않게 조바심 내는 것이 아닌 함께 나눌 수 있는 마음의 한 켠 이라고 생각합니다. 그것이 진정 나눔이며 가난하게 살고자 하는 모습인 것 같습니다.
욕심 많은 사람들은 나눔을 할 수가 없습니다. 내 마음이 이미 공허하여 계속 채우고자 하니 어떻게 타인에게 나눔을 할 수 있을까요. 이 사람들에게는 나눔을, 자발적 가난을 이야기하기보다는 함께 품어가야 할 사람들, 그 공허함을 함께 나누며 채워갈 수 있도록 도움의 손길을 내어주는 마음을 가지고 대해야 할 것입니다.
나눔의집에서 마주하고 있는 우리 아이들, 대부분의 사람들이 체감하는 가난은 현실의 가난한 삶보다 더 어려운 것일지도 모릅니다. 그래서 아이들의 마음과 현실의 그 가운데 어딘가 쯤 있을 나눔의집의 위치와 역할이 더욱 중요하다는 생각이 듭니다. 우리가 먼저 손을 내밀어 주고 함께 나누고 마음을 준다면 분명 사람들의 마음속에 천국을 가져다 줄 수 있겠지요. 아직 길을 찾지 못하고 방황하는 아이들에게 천국을 인도하는 길이 나눔의집 안에 분명히 있다고 믿습니다. 그러한 길을 함께 찾아갈 수 있도록 길잡이가 되어주어야 하는 것이 저희의 할 일 중 하나이겠지요.
“마음이 가난한 자는 복이 있나니 천국이 저희의 것이다 (마태복음 5:8)” 라는 성경 말씀처럼 현실의 가난이 우리에게 고난이 될 지라도 그 또한 또 다른 방법으로 해결해내고 이루어낼 수 있도록 도와주실 것을 믿는다면 가난은 슬픔이 아니라 희망과 기쁨이 될 것입니다.
앞으로의 나눔의집이 희망하며 나아가고자 하는 방향은“가난과 환경에 대한 재인식과 체화”입니다. 가난의 또 다른 이름을 나눔의 삶이라고 한다면 변해가는 환경에 대한 새로운 인식과 함께 몸소 그것을 실천할 수 있는 아름다운 사람이 되고자 하는 자체 인 것 같습니다. 머리와 말로만 그것을 이야기하는 사람보다는, 그러한 생각들을 몸소 실천으로 옮기는“행동하는 사람”이 되는 것입니다. 이는 나눔의집의 모든 사람들이 함께하고자 하는 진정한 가난의 의미이자 추구하는 방향이며 제가 여기서 깨달은 부분이기도 합니다.








교회 웹진


작성자
